USB 충전식 전기모기채 수리
USB 충전식 전기모기채 2개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어느날 1개가 충전이 되지 않는 것이었다.
중국산이라 빨리 고장나는건가? 하고 내부를 분해해봤더니 저항 하나가 타버린 상태였다.
흰색으로 동그라미친 부분이 타버린 저항이다. 기판을 따라가보니 이 저항은 단순히 5V 에서 전압강하를 시켜주는 저항이었다.
즉 5V 를 이 저항으로 전류제한을 해서 충전하는 방식이고, 완충감지장치 같은 것은 없었다.
멀쩡한 전기모기채를 분해해보니 이 저항의 값은 22옴 이었다. (적적흑금)
22옴 저항 하나를 사기 위해서 전자부품을 주문할 수는 없어서 대체품을 찾다가 고장난 컴퓨터용 파워서플라이에 달려있던 47옴, 51옴을 구해서 두개를 병렬연결 시키면 계산상으로 24.5옴({47*51}/{47+51} = 24.5)이 나오므로 이 저항 2개를 사용하기로 했다.
저항 2개를 병렬연결시켜서 값을 측정해보니 25옴 정도가 나온다. 주변회로에 닿지 않게 하기 위해서 비닐을 접어서 중간에 넣었다.
다시 조립한 후 연결해 보니 충전이 잘 진행된다.
배터리의 용량이 600mA 이고, 저항이 22옴 정도인데, 배터리에 2.5V 정도가 걸리고, 저항에 2.5V 정도가 걸리므로 충전전류는 약 V/R = 2.5/22 = 114mA 정도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 모기채의 충전시간은 약 7시간 정도 하면 적당하다. 새로 수리한 전기모기채도 직렬저항이 크게 바뀌진 않았으므로 7시간 정도 충전하면 된다.
저항이 본래 1/4W 짜리였는데,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P=I2R = 0.114*0.114*22 = 0.285W 이고 1/4W = 0.250W 이므로 저항이 견딜 수 있는 이상의 전력을 발산하게 되어 저항이 견딜 수 있는 용량을 약간 초과하게 되어 타게 되는 것은 시간문제였던 것이다.
전기모기채가 고장난 근본 원인은, 충분한 용량의 저항을 넣지 않은데 있었다.
전기모기채를 고치긴 고쳤는데.. 조금 씁쓸하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