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타고 다니다보면 라이트를 한동안 켜놓고 있거나 하는 경우로 인해서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스틱(수동) 자동차의 경우 밀어서 시동을 걸 수도 있지만 요즘에는 스틱 자동차를 찾기가 어렵죠.
스틱 자동차는 열쇠를 ON 으로 맞춘 다음 기어를 3단 정도에 맞춰두고 클러치를 밟은 상태로 차를 밀어서 어느 정도 속도가 붙었을 때, 클러치를 떼면 시동이 걸리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오토(자동변속기 차량)는 이렇게 시동을 걸 수 없습니다.
그래서 차량마다 차량용 점프선을 비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차량용 점프선은 서양 국가에서 부스터케이블(booster cable)이라고 불리므로 영미권 나라에서 점프선 달라고 하면 못알아듣습니다.
가령 방전된 차량과 정상차량이 있다면 정상차량의 배터리에서 전력을 얻어와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의 시동을 걸 수 있습니다.
방법은.
1. 정상차량의 시동을 건다.
2. 적색 점프선으로 정상 차량과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 극을 서로 연결한다.
3. 흑색 점프선으로 정상 차량의 배터리 (-) 극과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 극을 서로 연결한다. (가급적 배터리 극에 직접적으로 연결하는게 좋으나, 서로의 차체에 달린 큰 볼트 등에 연결해도 됨. 이 때, 약간의 불꽃의 튀기나, 두 차량 배터리의 미약한 전압차에 의한 것이므로 정상적인 현상임.)
4. 정상차량의 기어를 중립(N)이나 주차(P) 로 놓고 엑셀을 약간 밟아서 엔진 회전수를 조금 높인다.
5. 20~30초 정도 시간이 지난 후 방전된 차량의 시동을 걸어본다. 안 되면 30초쯤 지나서 다시 시도해본다.
6. 방전된 차량의 시동이 걸렸으면 흑색 점프선(-)을 양쪽 차량에서 떼어낸다.
7. 마지막 적색 점프선(+)을 양쪽 차량에서 떼어낸다.
8. 방전된 차량은 20분 이상 공회전을 하거나, 시동을 끄지말고 운행을 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의 순서로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방전된 차량의 (+) 극을 정상 차량의 (-) 극에 연결하고, 정상 차량의 (+) 극을 방전된 차량의 (-) 극에 연결하면?
펑! 하면서 불꽃놀이를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심하면 배터리가 폭발하여 황산이 튈 수 있습니다.)
배터리의 극 연결순서가 상관없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2번과 3번의 순서가 바뀌었을 때를 생각해보면..
(-) 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 극에 연결된 점프선을 나머지 차량으로 가져가다가 실수로 차체에 닿게 되면 합선이 일어나서 운이 나쁜 경우 배터리가 폭발할 수 있습니다. 6번과 7번이 바뀌어도 마찬가지이죠.
(-) 극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나머지 차량의 (+) 극에 선을 연결할 때 잘못해서 차체에 접촉하더라도 안전하지만 (-) 극을 먼저 연결해버리면 실수로 인해 배터리가 폭발할 위험성이 생기는 것입니다. 물론 어느 차량에서라도 (+) 극에 연결된 점프선의 나머지 끝을 원래 차량의 몸체에 접촉하면 합선되어 위험하지만.. 이 순서는 위험성을 줄이는 방법인 것입니다.
3번의 경우 (-) 극은 배터리에 물리면 안되고, 차체에 물려야 한다는 사람도 있는데, 이것은 배터리가 충전될 때, 인화성 가스인 수소가 나오기때문에 집게를 물릴 때 스파크가 튀어서 배터리에 불이 붙을 위험성이 있으므로 배터리에서 떨어진 곳에 연결하는것을 권장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배터리 극 끼리 직접적으로 연결해야 잘 됩니다. (불이 붙을 위험은 거의 없지만, 배터리가 폭발하여 황산이 눈에 튀어 실명을 한 사례도 있습니다.)
4번의 경우 정상 차량과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 전압이 차이가 날 수록 더 많은 전류가 방전된 차량으로 흘러서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가 빨리 충전되므로 회전수를 조금 높인 것이구요. (시동만 걸어놔도 됩니다.)
5 번의 경우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았을 때, 연결 직후 시동을 걸면 점프선에는 방전된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류와, 방전된 차량의 시동에 필요한 전류가 한꺼번에 흐르기 때문에 곧바로 시동을 걸면 점프선이 과열될 수 있으므로 연결상태로 30초 정도 둔 다음 시동을 겁니다.
결론은 (+) 점프선(빨간색) 먼저 연결하고 뗄 때에는 나중에 떼어내야 한다는 사실이죠. 또한 같은 전압(12V 차량은 12V 차량끼리)을 사용하는 차량끼리 해야 합니다.
응용하자면.. 12V 차량 2대로 24V 차량 1대의 시동을 걸 수도(점프선 3가닥 필요; 12V 차량 차체끼리 접촉하면 안됨) 있겠지만 반대의 경우(24V 차량으로 12V 차량 시동걸기)는 안됩니다. 24V 차량의 배터리 한쪽에 12V 차량의 배터리를 연결해서 시동을 걸면 12V 차량의 시동을 걸 수는 있겠지만 24V 차량의 배터리 밸런스가 틀어져버려서 24V 측 차량의 배터리가 머지않아 못쓰게 되어버립니다.
'전기관련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100V 용 콘센트 200V 용으로 교체하기 (0) | 2011.10.26 |
---|---|
DC 용 리액터 (0) | 2011.10.09 |
IEC60364에 의한 접지형식의 종류 (0) | 2011.09.10 |
비드 필터 (1) | 2011.05.06 |
동파방지열선 연결법 (2) | 201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