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관련상식2014. 3. 22. 00:00

반응형

구글 스트리트뷰를 이용하여 일본 오타와라(Otawara, 大田原)시의 거리를 살펴봤다. 


거리의 풍경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았는데, 전봇대의 모양은 한국과 약간 달랐다. 




일본의 전봇대 중에서 주상변압기가 달린 전봇대의 모습이다. 일본은 6600V 비접지 방식의 배전선로를 운영하기때문에 변압기의 결선을  델타결선계열로 이용하는것 같다. 위의 사진은 2개의 변압기가 V결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2차 측에서는 4가닥의 선이 나오는것으로 보아, 우리나라처럼 3상 4선식 이거나, 미국처럼 3상 3선식에서 한 상에 센터냅을 내어 접지를 한 방식일수도 있다.  




개폐기가 달린 전봇대의 모습이다. 우리나라와 모습은 비슷한데, 전선에 뭔가가 달려있는것이 보인다. 




위의 사진에서는 고압선에도 장치가 달려있고, 저압선에도 장치가 달려있다. 


확대해서 보니, 전선에 달린 장치의 위쪽에는 가느다란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는 것 같다. 아마도 조류가 앉지 못하게 하는 시설물인 것 같다.


사람이 자주 지나다니는 곳에 새똥이 떨어진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설치한듯..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중에 하나인데, 애자 블록을 만들어서 고압선을 지탱하는 부분도 있다. 새 같은 동물이 앉거나 하면 뒤틀려서 문제가 생길것 같기도 하다. 운이 나쁜 새는 저기서 감전될수도..



위의 사진은 수전설비를 가지고 있는 수용가로 들어가는 부분으로 보인다. 전력공급회사측 개폐기와 수용가측 개폐기가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모습인데, 전선의 이음새 부분에 가시같은 것을 달아놓았다. 아마도, 나전선의 접속부나 애자에 새의 똥이 쌓이면 부식이나 지락이 일어날 수도 있어서 그 위쪽에 새가 앉지 못하게 해둔 것 같다.  



위의 사진은 3상 일괄형 변압기인 듯하다. 단상변압기에 비해서 길이가 길다.  




고전압 선로의 말단부에 있는 변압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하면 COS 내부의 퓨즈가 끊어지면서 막대가 아래쪽으로 내려오는데, 일본에서는 모양이 약간 다르다. 애자같이 생긴 부분 안쪽에 퓨즈가 끊어지면 전선이 아래로 빠지는 구조인 것 같다.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COS 를 안쓰고 자기네들만의 방식을 만들었다. 전봇대에서도 일본의 갈라파고스화 기운이 느껴진다. 위의 방식은 변압기를 교체할때도 불편할 것 같다. 


2차측은 3가닥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단상 3선식으로 연결된 듯 하고, 인입선이 3가닥인데 중성선에는 전선휴즈가 달려있지 않고, 대지와 100V 의 전위차를 가지고 있는 2가닥의 선에만 퓨즈가 달려있다. 퓨즈가 달려있는 두 선간에는 200V 의 전위차를 가진다.  



일본에 사는 까치들도 전봇대에 집을 짓나보다. 까치집으로 보이는 새 둥지가 전봇대에 달려있다. 





이 전봇대도 말단부의 전봇대인데, 변압기가 하나이지만 비접지 방식이라서 고압선측에는 2가닥이 연결되어 있다. 


일본은 배전전압이 6600V 라서 우리나라보다 전력손실이 약간 큰 편이지만, 선로들의 긍장이 짧기 때문에 손실이 많지는 않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배전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22kV 급으로 배전전압을 올린다는 소식도 들린다.


우리나라도 초창기에는 6600V 의 배전전압을 사용했으나, 지금은 22900V 의 배전전압을 사용한다. 하지만 울릉도나 연평도 등의 섬지역에서는 6600V 의 배전전압을 사용하고 있다.  


사진 출처 - 구글 스트리트뷰 캡쳐

반응형
Posted by 블루토파즈